“미쳐 있었다.” 이 말 외엔 다른 말이 떠오르지 않았다. 고운 말을 굳이 두고 이 표현을 쓴 이유는, 그 몰입의 강도가 그만큼 컸기 때문이다. 카페에 앉아 7시간 동안 단 한 번 자리에서 일어난 적이 있었다. 화장실을 갈 때였다. 그날의 몰입은 유난히 강렬했다. 아이를 어린이집에서 데려오며 어깨가 결리는 순간까지도 머릿속은 코드와 데이터로 가득했다.
나는 두 달 가까이 Airtable, Make, AWS Lambda, API Gateway, Python, CursorAI 등을 이용해 콘텐츠 자동 제작 시스템을 구축했다. Naver Search API와 Search Ad API를 발급받았고, Airtable에서 키워드를 입력하고 조회 버튼만 누르면 Lambda가 호출되는 구조를 만들었다. 시중에선 월 2~3만 원에 판매되는 기능을 내가 직접 구현한 것이었다. 엄청난 자신감을 얻었다.
API Gateway 덕분에 Airtable의 모든 버튼은 트리거가 되었고, CursorAI로 원하는 코드를 만들어내며 Python으로 자동화 로직을 구현했다. ChatGPT API와 Perplexity API를 호출하여 자동으로 콘텐츠를 생성하고, JSON으로 정리된 데이터를 Airtable 필드에 맞춰 저장했다. 신세계였다.
심지어 크롤링 시스템도 직접 만들었다. Lambda의 메모리 한계 때문에 Docker와 Flask를 이용한 셀레니움 기반 크롤러를 Mac mini에 구축하기도 했다. 하지만 느렸다. 결국 BeautifulSoup만 사용하는 경량화된 구조로 Lambda에 올려 다시 구성했다.
자동 예약 발행도 구현했다. AWS EventBridge를 활용해 예약된 시간에 Lambda를 호출하고, KST(한국 표준시)를 UTC로 전환하는 로직까지 반영했다. 정책 크기 문제로 인해 이틀간 고생하며 해결책을 찾아냈다.
그렇게 나는 몰입했고, 만들어냈다. 클릭 몇 번으로 콘텐츠가 자동으로 생성되고 발행되는 시스템을!